역사·문화

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.

WELCOME TO BONGHWA CULTURAL CENTER

봉화의 지명

봉화문화원게시판
  등록일 : 2023-12-26 | 조회 : 417 | 추천 : 0 [전체 : 72 건] [현재 1 / 1 쪽] [로그인]
이름
봉화문화원
제목
상운면 운계리(雲溪里)

※ 내용을 인용하실 때는 "출처:봉화문화원 홈페이지"를 꼭 기재하여 주십시오. 

   무단 전재 및 재배포는 금지합니다.




본래 봉화군 서면 지역으로 마을 뒤쪽에 운현이 있으며, 그곳으로 흘러 내리는 내[川]가 있어
운계라 하였다.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괘성리·심곡리·익곡리의 일부를 병합하여
운계리라 해서 상운면에 편입되었다. 현재 상운 1리·2리로 나뉘어져 있다.


1. 상운면 운계1리

소야(蘇野) : 운계 1리 전체를 소야(蘇野)라고 하는데 옛날 12골짜기의 밭에서 차좁쌀 재배
가 잘 되었다고 하여 소야(蘇野)라고 불렀으며 윗소야·아랫소야로 나누어 오늘날까지 불
러오고 있다.

• 윗소야 : 약 600년 전 안동 권씨가 마을을 개척하고 거주하다가 봉화 유곡으로 옮겨가고
150년 전 안동시 북후면 물한리에서 진주 강씨가 이주해오고, 김해 김씨, 파평 윤씨, 김녕
김씨, 경주 이씨가 살고 있다.
• 주내밭골 : 주로 밭이 많은 골이라 하여‘ 주내밭골’이라 부른다.
• 왕바골(왕바위골) : 소야 동북쪽에 있는 골로 20여 톤이나 되는 큰 바위가 있는 골이라 하
여‘ 왕바골’이라 부르게 되었다.
• 덕구재 : 소야 동북쪽에 있는 들이다. 소야에 사는 농민이 그 들에 가면 덕이 있다고 하여
‘덕구재’라 부르게 되었다.
• 탑괘 : 본동리 남동쪽 400m 아래 위치한 골이다. 고려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경상북도
문화재자료‘ 봉화운계리폐탑’이 있어 부르는 지명이다. 일제강점기(1941년 경) 상운면주재
소와 상운면에서 안내한 일본인 골동품 수집상이 탑 속에 있는 자료를 가져갔다. 현재 상륜
부가 없는 석탑이 논둑에 쓰러져 있는 상태이다.
• 구름재 : 옛날 안동부사가 이 재를 넘어갈 때 갑자기 검은 구름이 하늘을 덮어 비를 피하려고
말을 몰아 재 위로 올라갔는데, 구름이 말보다 늦게 도착하였다 하여‘ 구름재’라고 부른다.
•새밭양지 : 양지쪽에 밭이 있다고 하여‘ 새밭양지’라고 한다.
• 큰갓꿈 : 구름재 오른쪽에 있다. 봉화산 아래 있는 큰 골이 갓 같아서‘ 큰갓꿈’이라고 부른
것 같다.
• 소공동묘지 : 소야에서 상운방면 1.2㎞ 지점 골에 소(牛)가 죽으면 매장하였다 하여‘ 소공
동묘지’라고 한다.
• 몰개자리 : 밤실에 접한 들로 토질이 모래땅이어서‘ 몰개자리’로 칭하였다고도 한다. 초복·
중복 무렵에 들이 넓어 고수레를 행했던 곳이라고도 전한다.
• 덕골 : 몰개자리 왼쪽에 있는 골이다. 이곳은 피난하기 좋은 골이라서 덕을 세웠다고 하여
‘덕골’이라 부르고 있다.
• 짝짹골 : 몰개자리 오른쪽에 있는 골이다. 골이 기울어져 짝짹이졌다(삐툴어졌다) 하여‘ 짝
짹골’이라고 한다. 또 새들이 많이 재잘거려서‘ 짝짹골’이라고도 한다.
• 연지방아골·연지방골 : 소야 본동네에서 왼쪽 골이다. 곡식을 연자맷돌과 소(牛)의 힘을
이용해서 방아돌을 돌려 가공했던 자리라고 해서‘ 연지방골’이라고 한다.
• 애돌머리 : 주내밭골 오른쪽으로 웃게 왼쪽 구름재 가는 길 사이에 차돌이 많이 나와‘ 애돌
머리’라고 전한다.
•웃게 : 구름재 밑에 있는 들이다. 윗쪽 거랑에 있다고 하여‘ 윗계(上溪)’·‘웃게’라고 부른다.
• 무등 : 구름재에서 새지골 쪽으로 약 300m 지점에 있는 산이다. 산등성이가 편평하다고 하
여‘ 무등’이라고 한다.

봉우골·봉화골 : 착골 북쪽에 있다. 조선시대에 봉수대가 있었던 산 밑의 마을이라 하여
봉우골이라 불렸다. 진주 강씨가 개척한 마을이며, 봉수대 터가 남아 있다.

• 고래장골 : 봉우골에서 남서쪽 왼편에 있는 산이다.
•갱투골 : 운계교회 뒷골로 가래골 재로 가는 왼쪽에 위치한 골이다.
• 아랫소야 : 임진왜란 후 경남 울주에서 경주 최씨가 입향하여 오늘까지 동성마을을 이루어
살고 있으며, 한말 이후 무안 박씨·제주 고씨가 입향하여 마을을 이루고 있다.
• 우렁당 : 원당 위쪽 밤실 입구에 있었던 당집이다. 당집은 수해로 물에 떠내려갔고, 그 속에
보관되어 있던 방울도 유실되었다. 이 방울이 앞 도랑으로 흘러 4㎞ 지점 운계2리 안마(더
느실)에서 빨래하던 여인이 주워 장롱 속에 감춰 두었다가 당집을 새로 세웠다는 이야기도
전해진다.
• 말고개재 : 밤실에서 문촌리 검성골로 넘어가는 재이다. 산의 지형이 말과 같은 형상이라고
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 밤낮으로 큰 짐승이 나타나 주민들이 왕래하기를 무서워하는 곳이었
다고 한다.
• 불미골 : 말고개재 아랫마을로 옛날 대장간이 있었던 곳으로 풀무가 있었는데 풀미골·빈
민골 등으로 칭하다가‘ 불미골’로 바꼈다.
• 풋구재 : 밤실에서 약 500m 지점 서쪽으로 가곡3리 후평 가는 고개이다. 봄부터 여름까지 두
벌 논매기(음력 7월 29일경) 농사일을 하고 전 동민들이 모여 하루 동안 피로를 풀고 자축하
였다. 자축연을‘ 풋구’ 또는‘ 초연(草宴)’이라고 하였다고 한다. 옛날에는 운계1리 원당 주민과
가곡3리 후평 주민들이 산둥에서 공동으로 풋구[草宴]를 먹었다고 하여‘ 풋구재’라고 부른다.

착골[善谷] : 밤실 윗마을에 있다. 마을의 산과 언덕이 가파르지 않고 주민의 마음이 온순
하며 곱고 착한 마음을 가진 사람들이 살고있는 마을이라 하여‘ 착골’이라 하였다.
원당(遠塘) : 마을 앞 논에 어떤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연못이 있어 원당(遠塘)이라고 했다.

• 만리봉 : 원당에 있는 산이다. 이 산에 오르면 상운면 전체가 시야에 들어오며 멀리 보인다
고 하여‘ 만리봉’이라 한다. 산등성이에서 산신제를 지낸다.
• 장자골·장대골 : 윈당에서 남서쪽 200m 지점 산기슭 골이다. 옛날에 큰 부자가 났다고 하
여‘ 장자골’이라 부르다가 지금은‘ 장대골’로 부르고 있다. 의성 김씨 재사가 있었는데 지금
은 무너졌다.
• 수박골 : 원당에서 상운 방면 500m 지점 왼쪽에 있는 골이다. 빈소에 상을 차려 수박을 놓
은 형상이라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
• 비늑골·비룡곡(飛龍谷) : 수박골 옆 골짜기이다. 용이 날아갔다는 골짜기라 하여 비늑골·
비룡곡(飛龍谷)이라고 한다.
• 감나무골 : 원당에서 웃소야로 가는 200m 지점 왼편 골이다. 옛날에 감나무가 많았다고 하
여 붙여진 지명이다. 현재 밭으로 이용하고 있다.



2. 상운면 운계2리

안마·안마을·익곡(益谷)·더드실 : 가곡1리 마을 안쪽에 위치하여‘ 안마’,‘ 안마을’로 불
린다. 괘별·오사음·소야 등 골짜기가 모이는 곳이라 하여‘ 익곡’이라고도 하였다. 또한
운계리와 가곡리에 걸쳐 있는 마을로서 약 300년 전 선성 김씨가 개척하였고, 마을의 터가
넓고 발전될 전망이 밝아 더 늘어날 마을이라고 하여‘ 더느실’이라고도 불렀다. 다른 유래는
백암 김록 산소 자리가 학(鶴)이 앉은 형국이라‘ 더느실’이라 하였으며 1921년 9월에 이곳
에 있던 상운면사무소를 현재 위치인 가곡리로 옮겼다. 상운시장도 예전에는‘ 더느실장’이
라 하였다고 한다.

• 새집골 : 옛날 관청의 서류를 보관하던 장소라 하여 서재(書載)골이었는데 현재는‘ 새집골’
로 불린다. 또 일설에는 새집이 많아서‘ 새집골’이라 하기도 한다.
• 빗전모퉁이 : 가곡에서 안마로 들어가는 입구이다. 마을 모퉁이에 백암 비각이 서 있어서
‘빗전모퉁이’라고 한다.
•당집골 : 당이 있는 골이라 하여‘ 당집골’이라 전한다. 매년 음력 1월 14일에 제사를 올린다.

오소림·오시래미·오사암(五士庵)·오사금(五士吟) : 의성 김씨가 마을을 개척하였다. 조
선시대 다섯 선비가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글을 읽었다고 하여‘ 오사암’이라 부른다.‘ 오사
음(五士吟)’ 이라고도 하며 마을 형태가 까마귀 집 같다고 하여‘ 오소음(烏巢吟)’‘, 오시래미’
라고 전한다.

• 합장골 : 오시래미 바로 직전 오른쪽 골이다. 골 위쪽에 합장한 산소가 있어‘ 합장골’이라고 한다.
• 장성백이 : 안동에서 봉화읍으로 가는 길목이며 안마[더느실]에서 운계1리로 가는 300m
지점 당집골 입구에 있다. 옛날 봉화 구지향교(현 봉성향교) 기준으로 십 리를 알리는 이정
표 역할을 하던 장승(현재는 공사로 없어짐)이 바위 옆에 서 있어서‘ 장성백이’라고 부른다.

텃골 :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으나 집 가까이에 있는 곳이라 하여‘ 텃골’이라 부른 것으로
추정된다

•사부랑골 : 텃골 바로 위쪽에 있는 좌측의 골이다.
• 길이 : 사부랑골을 지나서 괘별로 가는 오른쪽 골로 텃골에서 300m 지점에 있다. 원어는
‘옥(玉)길’이라고 하며 외딴곳이라 붙여진 지명으로 추정된다.
• 입범바위 : 텃골에서 괘별로 가는 길목에 있다. 길가 바위 형상이 호랑이가 입을 딱 벌리고
앉아 있는 형상이라 하여‘ 입범바위’라고 불렀다. 상운·문촌 간 도로 확·포장시 바위를 깨
어버렸다고 전한다.

괘별·괘성(掛星) : 높은 지역에 위치하여 마을의 모습이 마을 뒷산에 별이 걸려 있는 것처
럼 보인다고 하여‘ 괘성’이라 불렀다. 야송 송씨·영양 천씨가 살았다. 지금은 주로 영월 엄
씨들이 살고 있다.

• 머득골 : 괘별 들어가서 왼쪽에 있는 골이다. 원래는 원득골이라 하였으며 등에 올라서면
멀리 보인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.
• 옛터골 : 작은 괘별 바로 직전 오른쪽에 있는 골이다. 옛날 괘별이 처음 시작된 마을이며 여
기에서 살다가 지금의 괘별로 이동하면서 생겨난 지명이다.
• 장바우골·장암곡 : 괘별에서 상운 방면 300m 지점 우측 편에 있는 골이다. 골 안에 큰 바
위가 있는데 옛날 장수가 이 바위를 밟고 지나가서 발자국 모양이 바위에 남아‘ 장바우골’이
라 불렀다고 한다. 장바우골 뒷산에는 일제강점기때 운계1·2리 주민들의 묘지가 약 300
기 정도 안장되어 있어 일명‘ 공동묘지’라고도 한다.
• 점못 : 옛날 점토로 그릇을 만들어 팔았으며 그릇 장사들이 많이 들르고 쉬어가던 곳이라
한다. 괘별 입구와 토일리(중토마을) 진입로의 갈림길이다.
• 딱골 : 예전에 닥나무가 많아서‘ 딱골’이라 한다. 점못에서 상토마을을 앞질러 가는 길이다.
• 뱀골 : 괘별에서 상운 방면 500m 지점 왼편 산이다. 골이 뱀처럼 길어서 붙여진 지명이다.
옛날 가곡1리 쓰레기 매립장으로도 활용되었다.

청고개[靑峴] : 옛날 나무가 무성하여 인가는 없고 도둑이 많은 고개로 인적이 한가하였으
며 무성한 숲의 고개라 하여‘ 청고개[靑峴]’라 부른다. 또 옛날 봉화 현감이 목사 행차 시 청
(請)하러 간 고개라 하여‘ 청고개’라고 하기도 한다. 청고개에 올라서서 보면 예고개까지 보
인다고 한다.

• 올방골 :‘ 올방하다’는‘ 둥글다’‘, 오목하다’의 의미이며 마을의 형세에 따라 지은 이름이다.
• 밭닥골 : 수디에서 구천 가는 방면 왼쪽에 있는 골이다. 닥나무가 많아 생겨난 지명이다.
•송골 : 상운에서 수디로 가는 왼쪽 골이다. 골이 좁아서 손골·송골이라고 부른다.
• 검둥골 : 예전에는 안개가 많이 끼고 숲이 우거져 매우 어둡기 때문에 검둥골이라 하였다고
한다.

수디·수둥이·수등이 : 운계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. 마을에 우물이 많고 물이 풍부하여
농사가 잘되고 마을 사람들의 인심이 후하다고 하여‘ 수등이’라고 한다.

봉화문화원님이 2023-12-26 오전 11:19:00 에 작성하신 글 입니다.
댓글
이름 : 비밀번호 :

다음글
상운면 문촌리(文村里)
이전글
상운면 가곡리(佳谷里)